기업조회

기술동향

동향

동향 기본정보

수벌 없이 번식하는 남아프리카 케이프 꿀벌

동향 개요

동향 개요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6-06-08 00:00:00.000
내용 대부분 동물은 종족보존을 위해 암컷과 수컷이 모두 필요한 유성생식을 한다. 꿀벌도 예외는 아닌데 일반적으로 암컷 여왕벌이 수컷 수벌(drones)과 교미해 수정된 알을 낳아 번식한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남쪽 케이프 지역에 있는 한 꿀벌 무리는 수벌 없이 번식하는 방식으로 진화해왔다. 케이프 벌(Cape bee) 중에 암컷 일벌들은 교미 없이도 무성으로 생식할 수 있다. 이들은 그들 자신의 DNA에 의해 이미 수정된 알을 낳으며 새로운 일벌을 만들어 낸다. 또한, 다른 벌의 둥지에 침입하여 자신의 생식활동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데, 다시 말해 다른 벌의 둥지를 점령하는 사회적 기생(social parasitism)을 하는 것이다. 이런 독특한 행동양식에 관한 원인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으나 Uppsala University 연구팀이 그 뒤에 숨겨진 유전적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들은 케이프 벌과 정상적으로 유성 생식하는 꿀벌 집단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몇몇 유전자에서 눈에 띄는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 차이를 통해 수벌 없이 생식을 이끄는 비정상적인 산란 형태와 독특한 사회적 기생 행동양식을 설명할 수 있었다. 남아프리카의 케이프 벌이 왜 무성 생식을 하는 방식으로 진화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하지만 이 연구는 유전자가 어떻게 세포 분열(cell division)이나 행동양식 같은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진화 생물학자들이 풀지 못한 성의 진화 우위(evolutionary advantage of sex)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출처
원문URL 대부분 동물은 종족보존을 위해 암컷과 수컷이 모두 필요한 유성생식을 한다. 꿀벌도 예외는 아닌데 일반적으로 암컷 여왕벌이 수컷 수벌(drones)과 교미해 수정된 알을 낳아 번식한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남쪽 케이프 지역에 있는 한 꿀벌 무리는 수벌 없이 번식하는 방식으로 진화해왔다. 케이프 벌(Cape bee) 중에 암컷 일벌들은 교미 없이도 무성으로 생식할 수 있다. 이들은 그들 자신의 DNA에 의해 이미 수정된 알을 낳으며 새로운 일벌을 만들어 낸다. 또한, 다른 벌의 둥지에 침입하여 자신의 생식활동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데, 다시 말해 다른 벌의 둥지를 점령하는 사회적 기생(social parasitism)을 하는 것이다. 이런 독특한 행동양식에 관한 원인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으나 Uppsala University 연구팀이 그 뒤에 숨겨진 유전적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들은 케이프 벌과 정상적으로 유성 생식하는 꿀벌 집단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몇몇 유전자에서 눈에 띄는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 차이를 통해 수벌 없이 생식을 이끄는 비정상적인 산란 형태와 독특한 사회적 기생 행동양식을 설명할 수 있었다. 남아프리카의 케이프 벌이 왜 무성 생식을 하는 방식으로 진화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하지만 이 연구는 유전자가 어떻게 세포 분열(cell division)이나 행동양식 같은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진화 생물학자들이 풀지 못한 성의 진화 우위(evolutionary advantage of sex)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내용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6000246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꿀벌 케이프벌 무성생식 사회적 기생 유전적 기제 2. honeybee Cape bee asexual reproduction social parasitism genetic mechani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