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기술동향

동향

동향 기본정보

일본, 이노베이션 측정 방법의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동향 개요

동향 개요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7-03 00:00:00.000
내용 1. 조사연구의 배경과 목적 1) 국내외의 잇따른 이노베이션 창출정책 세계화의 진전 , 신흥공업국의 대두 , 국제경쟁의 격화로 이노베이션 창출은 일본을 비롯 세계 각국에서 긴요한 정책과제가 되었다 . 2) 이노베이션 평가를 위한 정책요구 증가 각국에서 이노베이션 창출 정책의 진전과 아울러 , 이노베이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 효과적인 정책 실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 종래의 정적이고 거시적인 지표로는 이노베이션의 역동성을 충분히 포착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 과학기술이 이노베이션에 끼치는 효과를 측정 ,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증명에 바탕을 둔 정책구축과 평가에 힘쓴다 . 3) 조사연구의 목적 과학기술연구와 밀접하게 관련된 이노베이션을 과정에 입각하여 분석하기 위해 , 2006 년도 ' 이노베이션 측정을 위한 기초조사 ' 에서 추출한 각 주제 , 접근 방법으로 실제 분석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과 동시에 ,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2. 조사연구의 내용 -과학연구 기술에의 파급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특허와 과학 논문의 연계를 분석하고 이노베이션 관련데이터를 미시적 관점으로 기업명 등을 참조할 수 있도록 시계열로 접속하고 분석했다 . - 기업 및 산업과 과학연구의 연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기업과 학회의 관계 , 연구자 및 기술자가 이노베이션의 프로세스에 대해 담당하는 역할을 분석했다 . -생산성 향상 등에 연구개발의 기여를 정량적으로 밝히기 위해 미시적인 이노베이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한 계량경제분석 ,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TFP 에 미친 효과분석 , 연구개발투자나 지적 재산이 기업가치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 구체적 기술에 근거한 이노베이션 효과에 대해 분석했다 . - 거시적인 이노베이션 창출효과를 밝히기 위해 ' 내셔널 이노베이션 시스템 ' 의 계층적 분석 및 국제비교 분석을 시행하고 , 과학기술정책에 관련된 연구자의 의식을 분석했다 . 3. 조사연구의 주요 성과 1) 이노베이션관련 마이크로 ( 기업 ) 데이터의 접속 과학기술연구조사 , 기업활동기본조사 , 특허데이터를 접속한 3,131 社의 데이터와 산학연대데이터 , 전국이노베이션조사데이터 등을 기업명 등으로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 시계열 마이크로 분석을 시행하는 기반을 구축했다 . 2) 연구개발과 생산성 향상의 관계 접속했던 데이터를 이용 TFP( 전요소생산성 ) 을 피설명변수라는 계량경제모델로 분석한 결과 , 연구개발투자나 이노베이션활동이 TFP( 전요소생산성 ) 의 상승에 기여한 점과 그 기여의 정도는 산업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 더욱이 , 이러한 연구는 1990 년대초 이후 거의 이뤄지지 않아서 그 후의 기간을 커버하는 분석사례가 되었다 . 3) 연구개발과 기업가치형성의 관계 접속했던 데이터를 이용해서 의약품산업에 대해 기업가치를 피설명변수라는 계량경제모델로 분석 , 기업이 장래 창출하는 캐시플로를 반영한 가치에 근거해 기업가치의 형성에 연구개발투자의 대매상고비율이 기여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 4) 기술적 이노베이션 경제효과의 계량 기술이노베이션이 실현한 케이스와 실현하지 않은 케이스를 비교해 이노베이션이 가져온 경제효과를 계량했다 . 구체적인 철강산업을 사례로 , 다공랜스와 OG 조치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 기술이 일본 철강산업의 생산량증가 (23.2%) 에 기여한 점이 확실해졌다 . 이 같은 방법을 통해 개별 기술이 산업에 어떤 형태의 영향을 주는지 정량적인 평가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5) 과학과 기술의 연계 미국특허 ( 약 160 건 ) 에 인용된 논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 특허가 인용한 학술논문에 대해 논문을 인용한 특허의 비율 , 특허의 평균인용논문수 , 특허출원년과 인용논문의 발행년도와의 시간차를 분석하는 것으로 과학과 기술의 연계 특징을 파악했다 . 또한 , 논문집필자의 소속기관에 대한 섹터분류를 통해 공적연구개발의 역할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 6) 기존산업과 과학의 긴밀성을 나타내는 ' 기존산업의 과학화 ' 가 진전 기업형 설문조사를 통해 기존산업이 학회와 관계를 강화 , 기술제휴나 상담의 기회로 학회를 이용하는 경향이 밝혀졌다 . 최근 이 같은 과학화의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산업으로 ' 자동차 , 항공기 , 산업용운반차량산업 ' 이 꼽히는데 , 이것은 과학연구의 성과가 직접적으로 제품화되는 신산업을 일으키는 모델이 된 것 뿐 아니라 기존산업과 과학의 관계를 밀접하게 하고 , 과학형 산업에 혁신적인 ' 산업의 과학화 ' 모델 반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7) 기초적인 연구단계와 제품의 구현화 , 시장화단계간의 지식교환이 부족한 경우 존재 반도체관련산업에 관련한 학회 회원에게 질문표조사를 기초로 , 각자 담당 활동이 선형모델 그룹인가 연쇄모델 그룹인가를 분석한 결과 기업연구자 및 대학연구자의 보유 수에 관계없이 모든 그룹이 연구 , 개발 , 설계 , 생산계활동과 마케팅 - 영업기술계활동을 연계하는 인재가 비교적 적고 , 연구자간의 지식교환 관계가 약한 점이 시사됐다 . 4. 앞으로의 과제 미시적인 ( 기업수준 ) 데이터의 접속과 분석은 국제적으로도 진행되고 있는 시점으로 , 이노베이션파악을 위해서는 경제 , 경영 , 통계 , 기술 등의 복수의 전문분야 연구자가 결집하는 것과 동시에 소요데이터를 축적 , 제공 가능한 연구플랫폼이 필요하다 . 또한 이노베이션 과정에서 사례연구를 필두로 하는 기초적연구를 병행하여 진행 , 지표체계 및 측정방법에 반영하는 등 기업이 과학과의 관계를 변화시키면서 과학적 지견을 받아들여 기업의 변혁을 도모하여 경쟁력을 획득해야 한다 . 또한 앞으로는 사외 기술지식 저장의 파급효과나 지적재산의 질적평가 , 특허와 논문에 그치지 않는 인재육성 , 인재교류 및 조직 간 이동을 통한 지식 형성 및 전파 효과를 평가에 반영시키는 것이 과제이다 .
출처
원문URL 1. 조사연구의 배경과 목적 1) 국내외의 잇따른 이노베이션 창출정책 세계화의 진전 , 신흥공업국의 대두 , 국제경쟁의 격화로 이노베이션 창출은 일본을 비롯 세계 각국에서 긴요한 정책과제가 되었다 . 2) 이노베이션 평가를 위한 정책요구 증가 각국에서 이노베이션 창출 정책의 진전과 아울러 , 이노베이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 효과적인 정책 실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 종래의 정적이고 거시적인 지표로는 이노베이션의 역동성을 충분히 포착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 과학기술이 이노베이션에 끼치는 효과를 측정 ,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증명에 바탕을 둔 정책구축과 평가에 힘쓴다 . 3) 조사연구의 목적 과학기술연구와 밀접하게 관련된 이노베이션을 과정에 입각하여 분석하기 위해 , 2006 년도 ' 이노베이션 측정을 위한 기초조사 ' 에서 추출한 각 주제 , 접근 방법으로 실제 분석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과 동시에 ,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2. 조사연구의 내용 -과학연구 기술에의 파급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특허와 과학 논문의 연계를 분석하고 이노베이션 관련데이터를 미시적 관점으로 기업명 등을 참조할 수 있도록 시계열로 접속하고 분석했다 . - 기업 및 산업과 과학연구의 연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기업과 학회의 관계 , 연구자 및 기술자가 이노베이션의 프로세스에 대해 담당하는 역할을 분석했다 . -생산성 향상 등에 연구개발의 기여를 정량적으로 밝히기 위해 미시적인 이노베이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한 계량경제분석 ,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TFP 에 미친 효과분석 , 연구개발투자나 지적 재산이 기업가치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 구체적 기술에 근거한 이노베이션 효과에 대해 분석했다 . - 거시적인 이노베이션 창출효과를 밝히기 위해 ' 내셔널 이노베이션 시스템 ' 의 계층적 분석 및 국제비교 분석을 시행하고 , 과학기술정책에 관련된 연구자의 의식을 분석했다 . 3. 조사연구의 주요 성과 1) 이노베이션관련 마이크로 ( 기업 ) 데이터의 접속 과학기술연구조사 , 기업활동기본조사 , 특허데이터를 접속한 3,131 社의 데이터와 산학연대데이터 , 전국이노베이션조사데이터 등을 기업명 등으로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 시계열 마이크로 분석을 시행하는 기반을 구축했다 . 2) 연구개발과 생산성 향상의 관계 접속했던 데이터를 이용 TFP( 전요소생산성 ) 을 피설명변수라는 계량경제모델로 분석한 결과 , 연구개발투자나 이노베이션활동이 TFP( 전요소생산성 ) 의 상승에 기여한 점과 그 기여의 정도는 산업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 더욱이 , 이러한 연구는 1990 년대초 이후 거의 이뤄지지 않아서 그 후의 기간을 커버하는 분석사례가 되었다 . 3) 연구개발과 기업가치형성의 관계 접속했던 데이터를 이용해서 의약품산업에 대해 기업가치를 피설명변수라는 계량경제모델로 분석 , 기업이 장래 창출하는 캐시플로를 반영한 가치에 근거해 기업가치의 형성에 연구개발투자의 대매상고비율이 기여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 4) 기술적 이노베이션 경제효과의 계량 기술이노베이션이 실현한 케이스와 실현하지 않은 케이스를 비교해 이노베이션이 가져온 경제효과를 계량했다 . 구체적인 철강산업을 사례로 , 다공랜스와 OG 조치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 기술이 일본 철강산업의 생산량증가 (23.2%) 에 기여한 점이 확실해졌다 . 이 같은 방법을 통해 개별 기술이 산업에 어떤 형태의 영향을 주는지 정량적인 평가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5) 과학과 기술의 연계 미국특허 ( 약 160 건 ) 에 인용된 논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 특허가 인용한 학술논문에 대해 논문을 인용한 특허의 비율 , 특허의 평균인용논문수 , 특허출원년과 인용논문의 발행년도와의 시간차를 분석하는 것으로 과학과 기술의 연계 특징을 파악했다 . 또한 , 논문집필자의 소속기관에 대한 섹터분류를 통해 공적연구개발의 역할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 6) 기존산업과 과학의 긴밀성을 나타내는 ' 기존산업의 과학화 ' 가 진전 기업형 설문조사를 통해 기존산업이 학회와 관계를 강화 , 기술제휴나 상담의 기회로 학회를 이용하는 경향이 밝혀졌다 . 최근 이 같은 과학화의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산업으로 ' 자동차 , 항공기 , 산업용운반차량산업 ' 이 꼽히는데 , 이것은 과학연구의 성과가 직접적으로 제품화되는 신산업을 일으키는 모델이 된 것 뿐 아니라 기존산업과 과학의 관계를 밀접하게 하고 , 과학형 산업에 혁신적인 ' 산업의 과학화 ' 모델 반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7) 기초적인 연구단계와 제품의 구현화 , 시장화단계간의 지식교환이 부족한 경우 존재 반도체관련산업에 관련한 학회 회원에게 질문표조사를 기초로 , 각자 담당 활동이 선형모델 그룹인가 연쇄모델 그룹인가를 분석한 결과 기업연구자 및 대학연구자의 보유 수에 관계없이 모든 그룹이 연구 , 개발 , 설계 , 생산계활동과 마케팅 - 영업기술계활동을 연계하는 인재가 비교적 적고 , 연구자간의 지식교환 관계가 약한 점이 시사됐다 . 4. 앞으로의 과제 미시적인 ( 기업수준 ) 데이터의 접속과 분석은 국제적으로도 진행되고 있는 시점으로 , 이노베이션파악을 위해서는 경제 , 경영 , 통계 , 기술 등의 복수의 전문분야 연구자가 결집하는 것과 동시에 소요데이터를 축적 , 제공 가능한 연구플랫폼이 필요하다 . 또한 이노베이션 과정에서 사례연구를 필두로 하는 기초적연구를 병행하여 진행 , 지표체계 및 측정방법에 반영하는 등 기업이 과학과의 관계를 변화시키면서 과학적 지견을 받아들여 기업의 변혁을 도모하여 경쟁력을 획득해야 한다 . 또한 앞으로는 사외 기술지식 저장의 파급효과나 지적재산의 질적평가 , 특허와 논문에 그치지 않는 인재육성 , 인재교류 및 조직 간 이동을 통한 지식 형성 및 전파 효과를 평가에 반영시키는 것이 과제이다 .
내용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1389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