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기술동향

동향

동향 기본정보

교과부, 2008년 우리나라 SCI 논문수 세계 12위

동향 개요

동향 개요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8-25 00:00:00.000
내용 2008년 우리나라 SCI 논문수 세계 12위 - 논문 1편당 피인용횟수는 30위로 1단계 상승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과학기술논문색인인 SCI (Science Citation Index) SSCI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의 NSI DB*를 분석한 결과, 2008년도 세계 총 논문수는 1,158,247편이고, 우리나라의 SCI게재 논문수는 35,569편으로 186개국 중 전년과 동일한 12위로 나타났다. #9702; 또한, 우리나라 SCI 논문이 국가별 논문수 합계(1,467,237편) 중 차지하는 비중은 2.42%로 최근 10년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 과학기술논문색인 NSI(National Science Indicators) DB : 미국의 민간 학술정보 전문기관(Thomson Reuters) 에서 학술적 기여도가 높은 과학기술분야(인문·사회과학 포함) 학술지를 엄선하고 동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정보 와 해당 논문에 대한 인용정보 등을 DB화하여 제공하는 자료 중 국가별·분야별 발표 논문수와 피인용도에 관한 통계자료 수록 □ SCI 논문 발표수 세계 상위 5개국은, #9702; 미국, 중국, 영국, 독일, 일본이며 상위 5개국의 논문수 합(711,680편)은 국가별 논문수 합계(1,467,237편) 중 절반에 가까운 비중(48.50%)을 차지하고 있다. #9702; 논문 발표수 상위 12개국 중 대부분의 국가들이 순위변동이 없는 가운데 인도(11→10위, 31.03%)가 높은 논문 수 증가율과 함께 순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도 30.37%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 GDP 세계 순위 10위내 국가 중 브라질과 러시아를 제외한 8개국 모두 논문수 10위권 이내에 포함되어 경제 규모가 논문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9702; 2008년 우리나라의 국내 총 생산(GDP)은 세계 182개국 중 15위이나, 논문수는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 우리나라 분야별 논문발표수를 보면, #9702; 총 22개 분야 중 재료과학(4위), 컴퓨터과학(8위), 공학(8위), 미생물학(8위), 약리학(8위), 물리학(9위), 화학(10 위) 등 7개 분야의 논문수가 세계 상위 10위권에 포함되어 있다. □ 우리나라 SCI 논문의 5년 주기별(2004~2008)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는 3.28회(세계평균 4.62회)로 전년도 (3.10회) 보다 5.8% 증가했으며, 순위도 전년도 31위에서 30위로 상승하였다. □ 한편, 최근 5년간(2004~2008) 주요 국가의 논문수 및 1편당 피인용횟수의 특징을 살펴보면, 스위스 덴마크 네덜란드 등은 일본 한국 중국 인도에 비해 논문수 순위는 낮으나, 논문 1편당 피인용횟수는 최상위 국가로 나타났다. #9702; 이는 이들 국가는 생명과학 및 임상의학 등의 분야에서 질적으로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또한,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등 기관별 순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WoS DB로 분석한 결과, #9702; WoS DB* (SCIE, SSCI, A HCI) 기준, 2008년도 한 해 동안 국내 대학 연구소 기업 등에 소속된 연구자가 참여 하여 발표한 전체 논문수는 총 30,536편(2007년도 26,043편보다 17.3% 증가)으로 집계됐다. *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ended), SSCI(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A HCI (Art and Humanities Citation Index) □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번 분석 결과, #9702;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분야 연구 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논문 1편당 피인용도는 30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만큼, - 향후 연구성과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 정부연구개발 지원시 연구기관의 실질적인 연구성과 제고 노력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9702; 또한, 연구개발 지원시 논문, 특허 분석 등 선행조사를 강화해 틈새분야 연구성과를 강화하는 한편, 취약한 분야는 보강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02-2100-6648, 과학기술기반과장 장보현, 사무관 김정한 ☎ 042-350-2229, KAIST 학술정보운영팀장 소민호
출처
원문URL 2008년 우리나라 SCI 논문수 세계 12위 - 논문 1편당 피인용횟수는 30위로 1단계 상승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과학기술논문색인인 SCI (Science Citation Index) SSCI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의 NSI DB*를 분석한 결과, 2008년도 세계 총 논문수는 1,158,247편이고, 우리나라의 SCI게재 논문수는 35,569편으로 186개국 중 전년과 동일한 12위로 나타났다. #9702; 또한, 우리나라 SCI 논문이 국가별 논문수 합계(1,467,237편) 중 차지하는 비중은 2.42%로 최근 10년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 과학기술논문색인 NSI(National Science Indicators) DB : 미국의 민간 학술정보 전문기관(Thomson Reuters) 에서 학술적 기여도가 높은 과학기술분야(인문·사회과학 포함) 학술지를 엄선하고 동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정보 와 해당 논문에 대한 인용정보 등을 DB화하여 제공하는 자료 중 국가별·분야별 발표 논문수와 피인용도에 관한 통계자료 수록 □ SCI 논문 발표수 세계 상위 5개국은, #9702; 미국, 중국, 영국, 독일, 일본이며 상위 5개국의 논문수 합(711,680편)은 국가별 논문수 합계(1,467,237편) 중 절반에 가까운 비중(48.50%)을 차지하고 있다. #9702; 논문 발표수 상위 12개국 중 대부분의 국가들이 순위변동이 없는 가운데 인도(11→10위, 31.03%)가 높은 논문 수 증가율과 함께 순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도 30.37%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 GDP 세계 순위 10위내 국가 중 브라질과 러시아를 제외한 8개국 모두 논문수 10위권 이내에 포함되어 경제 규모가 논문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9702; 2008년 우리나라의 국내 총 생산(GDP)은 세계 182개국 중 15위이나, 논문수는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 우리나라 분야별 논문발표수를 보면, #9702; 총 22개 분야 중 재료과학(4위), 컴퓨터과학(8위), 공학(8위), 미생물학(8위), 약리학(8위), 물리학(9위), 화학(10 위) 등 7개 분야의 논문수가 세계 상위 10위권에 포함되어 있다. □ 우리나라 SCI 논문의 5년 주기별(2004~2008)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는 3.28회(세계평균 4.62회)로 전년도 (3.10회) 보다 5.8% 증가했으며, 순위도 전년도 31위에서 30위로 상승하였다. □ 한편, 최근 5년간(2004~2008) 주요 국가의 논문수 및 1편당 피인용횟수의 특징을 살펴보면, 스위스 덴마크 네덜란드 등은 일본 한국 중국 인도에 비해 논문수 순위는 낮으나, 논문 1편당 피인용횟수는 최상위 국가로 나타났다. #9702; 이는 이들 국가는 생명과학 및 임상의학 등의 분야에서 질적으로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또한,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등 기관별 순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WoS DB로 분석한 결과, #9702; WoS DB* (SCIE, SSCI, A HCI) 기준, 2008년도 한 해 동안 국내 대학 연구소 기업 등에 소속된 연구자가 참여 하여 발표한 전체 논문수는 총 30,536편(2007년도 26,043편보다 17.3% 증가)으로 집계됐다. *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ended), SSCI(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A HCI (Art and Humanities Citation Index) □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번 분석 결과, #9702;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분야 연구 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논문 1편당 피인용도는 30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만큼, - 향후 연구성과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 정부연구개발 지원시 연구기관의 실질적인 연구성과 제고 노력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9702; 또한, 연구개발 지원시 논문, 특허 분석 등 선행조사를 강화해 틈새분야 연구성과를 강화하는 한편, 취약한 분야는 보강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02-2100-6648, 과학기술기반과장 장보현, 사무관 김정한 ☎ 042-350-2229, KAIST 학술정보운영팀장 소민호
내용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900423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