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기술동향

동향

동향 기본정보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아세틸화 수식이 천연 면역 조절 영향 메커니즘 연구 발표

동향 개요

동향 개요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20-08-31 00:00:00.000
내용 <p>인간이 가지는 원래의 면역 반응은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에 대한 신체의 첫 번째 방어선으로서 병원성 미생물을 죽이고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단백질 합성후에 일어나는 번역 후 변형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은 여러가지가 존재하는데 신체 내에서 다양한 경로에서 신호 분자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데 광범위하게 관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p><p>비 히스톤 아세틸 화는 단백질 안정성, 효소 활성, 세포 내 위치 및 단백질-단백질 / DNA 상호 작용을 조절하며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선천성 면역 반응에서 비 히스톤 아세틸화 변형 기능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p><p>그러나 다른 PTM과 아세틸화에 의한 면역 반응에서 신호 분자 활성의 조절은 여전히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중국과학원 산하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생물안정성 메가연구센터의 바이러스 국가 중점 연구실의 Chen Jizheng과 Chen Xinwen 팀은 히스톤 탈아세틸화 반응을 촉매하는 HDAC3가 내부 및 외부 수준에서 신체 면역 반응을 상향 조절하고 신호 경로에서 TBK1(TANK-binding kinase 1)에 작용하며 인테페론 Ⅰ형의 생산을 촉진 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p><p>이 연구는 처음으로 바이러스 감염 단계에서 TBK1의 활성화가 PTM후 아세틸 화의 동적 조절을 수반하면서 처음에는 강화지만 이어서 약화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HDAC3는 TBK1의 Lys241 및 Lys692 부위를 직접 탈아세틸 화하여 TBK1의 kinase 효소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TBK1의 Lys241 부위의 아세틸화 변형 수준은 바이러스 자극 초기 단계에서 현저하게 증가한 다음 면역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에 따라 감소한다.</p><p>이어진 연구에 따르면 TBK1의 Lys241에서의 아세틸화는 TBK1과 IRF3 간의 상호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Lys241에서의 탈아세틸 화는 IRF3를 인산화하는(phosphorylation) TBK1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 연구는 또한 TBK1 Lys692 부위의 아세틸화 변형 수준이 처음에 증가했다가 약화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는 것을 밝혔다. TBK1 Lys692 부위의 아세틸화 변형은 TBK1 이량체(dimer)의 활성화와 자체 kinase 활성을 억제한다. HDAC3는 TBK1을 탈 아세틸 화하여 TBK1의 kinase 활성을 향상시킵니다. kinase로서 TBK1은 HDAC3의 Ser424 부위를 인산화하여 아세틸화 활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p><p>관련 결과는 Histone deacetylase 3 promotes innate antiviral immunity through deacetylation of TBK1는 제목으로 &lt;Protein &amp; Cell&gt; 잡지에 게재되었으며 히스톤 deacetylase 3(HDAC3)은 TBK1의 탈아세틸화를 통해 선천적 항 바이러스 면역을 촉진한다. 박사 과정 학생 Tang Jielin이 제일 저자로 참가한 이 연구는 중국 과학원의 청소년 혁신 촉진 협회와 국가 핵심 R &amp; D 프로그램의 지원하였다.</p>
출처
원문URL <p>인간이 가지는 원래의 면역 반응은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에 대한 신체의 첫 번째 방어선으로서 병원성 미생물을 죽이고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단백질 합성후에 일어나는 번역 후 변형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은 여러가지가 존재하는데 신체 내에서 다양한 경로에서 신호 분자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데 광범위하게 관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p><p>비 히스톤 아세틸 화는 단백질 안정성, 효소 활성, 세포 내 위치 및 단백질-단백질 / DNA 상호 작용을 조절하며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선천성 면역 반응에서 비 히스톤 아세틸화 변형 기능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p><p>그러나 다른 PTM과 아세틸화에 의한 면역 반응에서 신호 분자 활성의 조절은 여전히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중국과학원 산하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생물안정성 메가연구센터의 바이러스 국가 중점 연구실의 Chen Jizheng과 Chen Xinwen 팀은 히스톤 탈아세틸화 반응을 촉매하는 HDAC3가 내부 및 외부 수준에서 신체 면역 반응을 상향 조절하고 신호 경로에서 TBK1(TANK-binding kinase 1)에 작용하며 인테페론 Ⅰ형의 생산을 촉진 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p><p>이 연구는 처음으로 바이러스 감염 단계에서 TBK1의 활성화가 PTM후 아세틸 화의 동적 조절을 수반하면서 처음에는 강화지만 이어서 약화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HDAC3는 TBK1의 Lys241 및 Lys692 부위를 직접 탈아세틸 화하여 TBK1의 kinase 효소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TBK1의 Lys241 부위의 아세틸화 변형 수준은 바이러스 자극 초기 단계에서 현저하게 증가한 다음 면역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에 따라 감소한다.</p><p>이어진 연구에 따르면 TBK1의 Lys241에서의 아세틸화는 TBK1과 IRF3 간의 상호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Lys241에서의 탈아세틸 화는 IRF3를 인산화하는(phosphorylation) TBK1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 연구는 또한 TBK1 Lys692 부위의 아세틸화 변형 수준이 처음에 증가했다가 약화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는 것을 밝혔다. TBK1 Lys692 부위의 아세틸화 변형은 TBK1 이량체(dimer)의 활성화와 자체 kinase 활성을 억제한다. HDAC3는 TBK1을 탈 아세틸 화하여 TBK1의 kinase 활성을 향상시킵니다. kinase로서 TBK1은 HDAC3의 Ser424 부위를 인산화하여 아세틸화 활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p><p>관련 결과는 Histone deacetylase 3 promotes innate antiviral immunity through deacetylation of TBK1는 제목으로 &lt;Protein &amp; Cell&gt; 잡지에 게재되었으며 히스톤 deacetylase 3(HDAC3)은 TBK1의 탈아세틸화를 통해 선천적 항 바이러스 면역을 촉진한다. 박사 과정 학생 Tang Jielin이 제일 저자로 참가한 이 연구는 중국 과학원의 청소년 혁신 촉진 협회와 국가 핵심 R &amp; D 프로그램의 지원하였다.</p>
내용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20005675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면역체계 히스톤 탈아세틸화 번역 2. Immune system histone deacetylation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