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기술동향

동향

동향 기본정보

일본, 환경분야 연구과제의 향후 대응방향

동향 개요

동향 개요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5-15 00:00:00.000
내용 1. 주요 연구개발 과제의 추진상황 및 향후 대응 가. 기후변동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온실가스 관측기술위성인 'IBUKI' GOSAT(Greenhouse gases Observing SATellite)의 발사 성공으로 향후 본격적인 운용이 개시될 예정이다. ○ 해면 표층의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센서 개발, 국내의 삼림 관측점에서의 육역(陸域)생태계의 이산화탄소 수지를 추정하는 수법 개발, 삼림 토양 탄소의 탄소 변동을 예측하기 위한 토양 탄소 모델 개발 등이 계획대로 진척되고 있다. ○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기후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 성과가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2) 향후대응 ○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전지구 농도 분포 등을 추정하는 수법을 개량한다. ○ 지리적 밸런스를 위한 지구 관측 및 지역별 예측 정도를 향상한다. ○ 기후변동의 고정밀도 예측을 위한 계속적인 관측 강화, 데이터 통합, 새로운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한다. ○ 현지 기관의 협력자 육성 및 적절한 네트워크 구축을 도모한다. ○ 과학기술의 발달과 실행뿐만 아니라, 사회시스템의 개혁에 따른 발전적인 경제활동도 연동시키는 종합적인 정책 입안에 이바지하는 연구를 추진한다. 나. 水·물질 순환과 유역권 영역 (1) 추진상황 ○ 지구 규모의 강우 관측을 위한 위성에 탑재하는 2주파 강수 레이더(DPR)를 개발중이다. ○ 지속 가능한 유역권·도시 보전·재생·형성에 관한 '자연 공생 지원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해, 유역권 환경관리의 원활한 운영을 가능하게 했다. (2) 향후대응 ○ 관측 기기 및 예측모델의 개량을 진행한다. ○ 국내외 대학·연구기관 및 행정 기관과의 제휴 강화와 제휴 거점의 조기 설립을 도모한다. 다. 생태계 관리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생태계의 구조·기능의 해명과 평가에 멀티 스케일(Multi-Scale)에서의 생물 다양성 관측·해석·평가에 임했다. ○ 조사선 등에 의해 육역 및 해양의 생물 생태계와 물질 순환의 관측을 실시하며, 이들 다양한 지구관측 데이터를 통융합하는 데이터 동화시스템을 개발했다. (2) 향후대응 ○ 일본 및 아시아에서의 위성에 의한 생태계 관측, 현장조사에 의한 수질환경경계 지표 및 야생생물 등의 모니터링을 계속적으로 추진한다. ○ 하천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 관리기술을 개발한다. 라. 화학물질 리스크·안전 관리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Toxicogenomics(의약품에 의한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파악하고, 독성을 평가·예측하는 수법)이나 QSAR(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구조활성상관관계)을 이용한 유해성 평가 수법을 개발중이다. ○ 非TBT(tributyltin) 선박용 도료의 해양 생태 영향의 리스크 평가 기술에서 유해 화학물질의 생리장해기구에 근거한 어류영향평가법 개발을 실시했다. ○ 비염소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재료를 개발, 일부는 시장공급이 개시되고 있다. (2) 향후대응 ○ 화학물질의 환경 배출량 추계 수법 확립과 나노 입자의 리스크 평가 수법 등을 개발한다. ○ 화학물질의 라이프 사이클 전체로의 리스크 평가 연구의 추진한다. ○ 제조에서 생산, 소비, 폐기, 재활용에 이르는 물질순환 등의 정보공유 및 정보가 부족한 업종의 데이터 축적 등을 추진한다. 마. 3R(Reduce, Reuse, Recycle) 기술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3R에 적절한 생산·소비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각종 순환 자원 및 순환 이용 시스템의 LCA(Life Cycle Assessment) 평가 및 물질순환 데이터 정비에 의한 전국단위의 효과 분석 등을 실시했다. ○ 이동식 바이오매스 처리장치 개발, 목재의 이력추적관리제도(Traceability) 등 다면적으로 연구 전개를 실시했다. 에너지 및 진흙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배수 처리시스템 개발, 산업 폐기물에서의 중금속 파악, 시뮬레이션에 의한 해면 처분장의 물차단 성능평가 등을 실시했다. ○ 태양전지 부품의 리사이클 기술 개발, 폐소형 가전에서의 희소금속 회수 기술 개발, 희소금속 자원의 절약·사용 기술 개발, 건설 구조물의 장기 수명화, 재활용 및 폐기 단계에서의 유용 물질·유해 물질의 적정 관리를 위한 이력추적관리제도(Traceability) 등을 추진하고 있다. ○ 유용성·유해성에서 본 순환 자원의 관리 기술에 관한 연구 개발에서는, 전략중점 과학기술로서 고온납땜 대체기술 개발, 개발도상국에서의 폐PC로부터의 금속 자원 가능량 추정을 실시했다. (2) 향후대응 ○ 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한 대책 효과를 예측하는 모델 확립과 이에 필요한 정보 기반의 정비를 진행시킨다. ○ 대책 시나리오의 사회적 실천을 위한 정책 설계를 추진한다. ○ 국가간 이동하는 순환 자원의 흐름 정밀화와 각 지점에서의 환경 부하 파악 등 국제 자원 순환의 적정 관리 방책 제안에 노력한다. ○ 전기·전자기기의 재자원화를 촉진하기 위한 고온납땜 대체 기술 개발과 국제 표준화 대응을 진행시킨다. 바. 바이오매스 이용·활용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양이 풍부하고 안정공급 가능한 제재공장 등의 잔재, 건설 발생 목재, 간벌재 등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유효하게 에탄올이나 바이오 디젤 연료로 변환하는 기술, 열이나 전력에 고효율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을 실시했다. ○ 2008년부터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의 에탄올 제조의 새로운 저비용화, 고효율화를 도모해, 식료와 경합하지 않는 바이오매스 자원의 활용에 대해 사회 환원 가속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 지역에 적합한 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 및 원료 확보로부터 이용 등의 자원 순환 시스템을 개발해, 경제적인 요건을 사회과학적인 면을 포함해 검토했다. 또, 국내외의 적절한 바이오매스 타운을 설계하기 위한 물질 순환, 지역 특성, 안전성, 경제성 등에 따른 평가 수법을 검토했다. (2) 향후대응 ○ 에너지 회수율 및 비용면에서 실제이용 가능하고 지역에 적합한 바이오매스 이용·활용 시스템의 개발을 진행시킨다. ○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매스 이용기술을 개발한다. ○ 실증 사업 등과의 제휴 강화에 의한 연구개발 성과의 신속한 제공에 노력한다. 2. 환경분야의 추진방책 (1) 환경 선도국가로서의 대응과 세계 공헌 ○ 여러 국가와의 제휴를 강화해, 관측 데이터 공유, 이용 촉진을 도모한다. (2) 대국민 정보발신 ○ 데이터 이용 촉진 및 '성과의 가시화'를 도모한다. (3) 환경과 관련된 폭넓은 인재 육성 ○ 융합 분야 및 리스크 평가·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실무를 실시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4) 부처간 협력 체제 ○ 정상 관측 체제나 관측 데이터의 취급에 관한 제휴 강화를 진행시킨다. (5) 산학관 연구 주체간의 역할 분담·제휴 ○ 추진전략 등 방침에 따라 각 부처, 대학 연구자의 활동을 연결하는 체제 구축에 노력한다. (6) 지방공공단체나 지역적 대응과의 제휴 ○ 제휴의 본연의 자세에 대해서 보다 더 촉진을 도모한다. (7) 연구 공통기반의 정비·운용 ○ 연구 공통기반인 지구관측 및 그 외 기초연구 등에 대한 지원을 검토한다. *종합과학기술회의 환경PT회합(제 9회) 배부자료임(2009년 4월 24일).
출처
원문URL 1. 주요 연구개발 과제의 추진상황 및 향후 대응 가. 기후변동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온실가스 관측기술위성인 'IBUKI' GOSAT(Greenhouse gases Observing SATellite)의 발사 성공으로 향후 본격적인 운용이 개시될 예정이다. ○ 해면 표층의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센서 개발, 국내의 삼림 관측점에서의 육역(陸域)생태계의 이산화탄소 수지를 추정하는 수법 개발, 삼림 토양 탄소의 탄소 변동을 예측하기 위한 토양 탄소 모델 개발 등이 계획대로 진척되고 있다. ○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기후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 성과가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2) 향후대응 ○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전지구 농도 분포 등을 추정하는 수법을 개량한다. ○ 지리적 밸런스를 위한 지구 관측 및 지역별 예측 정도를 향상한다. ○ 기후변동의 고정밀도 예측을 위한 계속적인 관측 강화, 데이터 통합, 새로운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한다. ○ 현지 기관의 협력자 육성 및 적절한 네트워크 구축을 도모한다. ○ 과학기술의 발달과 실행뿐만 아니라, 사회시스템의 개혁에 따른 발전적인 경제활동도 연동시키는 종합적인 정책 입안에 이바지하는 연구를 추진한다. 나. 水·물질 순환과 유역권 영역 (1) 추진상황 ○ 지구 규모의 강우 관측을 위한 위성에 탑재하는 2주파 강수 레이더(DPR)를 개발중이다. ○ 지속 가능한 유역권·도시 보전·재생·형성에 관한 '자연 공생 지원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해, 유역권 환경관리의 원활한 운영을 가능하게 했다. (2) 향후대응 ○ 관측 기기 및 예측모델의 개량을 진행한다. ○ 국내외 대학·연구기관 및 행정 기관과의 제휴 강화와 제휴 거점의 조기 설립을 도모한다. 다. 생태계 관리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생태계의 구조·기능의 해명과 평가에 멀티 스케일(Multi-Scale)에서의 생물 다양성 관측·해석·평가에 임했다. ○ 조사선 등에 의해 육역 및 해양의 생물 생태계와 물질 순환의 관측을 실시하며, 이들 다양한 지구관측 데이터를 통융합하는 데이터 동화시스템을 개발했다. (2) 향후대응 ○ 일본 및 아시아에서의 위성에 의한 생태계 관측, 현장조사에 의한 수질환경경계 지표 및 야생생물 등의 모니터링을 계속적으로 추진한다. ○ 하천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 관리기술을 개발한다. 라. 화학물질 리스크·안전 관리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Toxicogenomics(의약품에 의한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파악하고, 독성을 평가·예측하는 수법)이나 QSAR(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구조활성상관관계)을 이용한 유해성 평가 수법을 개발중이다. ○ 非TBT(tributyltin) 선박용 도료의 해양 생태 영향의 리스크 평가 기술에서 유해 화학물질의 생리장해기구에 근거한 어류영향평가법 개발을 실시했다. ○ 비염소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재료를 개발, 일부는 시장공급이 개시되고 있다. (2) 향후대응 ○ 화학물질의 환경 배출량 추계 수법 확립과 나노 입자의 리스크 평가 수법 등을 개발한다. ○ 화학물질의 라이프 사이클 전체로의 리스크 평가 연구의 추진한다. ○ 제조에서 생산, 소비, 폐기, 재활용에 이르는 물질순환 등의 정보공유 및 정보가 부족한 업종의 데이터 축적 등을 추진한다. 마. 3R(Reduce, Reuse, Recycle) 기술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3R에 적절한 생산·소비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각종 순환 자원 및 순환 이용 시스템의 LCA(Life Cycle Assessment) 평가 및 물질순환 데이터 정비에 의한 전국단위의 효과 분석 등을 실시했다. ○ 이동식 바이오매스 처리장치 개발, 목재의 이력추적관리제도(Traceability) 등 다면적으로 연구 전개를 실시했다. 에너지 및 진흙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배수 처리시스템 개발, 산업 폐기물에서의 중금속 파악, 시뮬레이션에 의한 해면 처분장의 물차단 성능평가 등을 실시했다. ○ 태양전지 부품의 리사이클 기술 개발, 폐소형 가전에서의 희소금속 회수 기술 개발, 희소금속 자원의 절약·사용 기술 개발, 건설 구조물의 장기 수명화, 재활용 및 폐기 단계에서의 유용 물질·유해 물질의 적정 관리를 위한 이력추적관리제도(Traceability) 등을 추진하고 있다. ○ 유용성·유해성에서 본 순환 자원의 관리 기술에 관한 연구 개발에서는, 전략중점 과학기술로서 고온납땜 대체기술 개발, 개발도상국에서의 폐PC로부터의 금속 자원 가능량 추정을 실시했다. (2) 향후대응 ○ 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한 대책 효과를 예측하는 모델 확립과 이에 필요한 정보 기반의 정비를 진행시킨다. ○ 대책 시나리오의 사회적 실천을 위한 정책 설계를 추진한다. ○ 국가간 이동하는 순환 자원의 흐름 정밀화와 각 지점에서의 환경 부하 파악 등 국제 자원 순환의 적정 관리 방책 제안에 노력한다. ○ 전기·전자기기의 재자원화를 촉진하기 위한 고온납땜 대체 기술 개발과 국제 표준화 대응을 진행시킨다. 바. 바이오매스 이용·활용 연구영역 (1) 추진상황 ○ 양이 풍부하고 안정공급 가능한 제재공장 등의 잔재, 건설 발생 목재, 간벌재 등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유효하게 에탄올이나 바이오 디젤 연료로 변환하는 기술, 열이나 전력에 고효율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을 실시했다. ○ 2008년부터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의 에탄올 제조의 새로운 저비용화, 고효율화를 도모해, 식료와 경합하지 않는 바이오매스 자원의 활용에 대해 사회 환원 가속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 지역에 적합한 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 및 원료 확보로부터 이용 등의 자원 순환 시스템을 개발해, 경제적인 요건을 사회과학적인 면을 포함해 검토했다. 또, 국내외의 적절한 바이오매스 타운을 설계하기 위한 물질 순환, 지역 특성, 안전성, 경제성 등에 따른 평가 수법을 검토했다. (2) 향후대응 ○ 에너지 회수율 및 비용면에서 실제이용 가능하고 지역에 적합한 바이오매스 이용·활용 시스템의 개발을 진행시킨다. ○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매스 이용기술을 개발한다. ○ 실증 사업 등과의 제휴 강화에 의한 연구개발 성과의 신속한 제공에 노력한다. 2. 환경분야의 추진방책 (1) 환경 선도국가로서의 대응과 세계 공헌 ○ 여러 국가와의 제휴를 강화해, 관측 데이터 공유, 이용 촉진을 도모한다. (2) 대국민 정보발신 ○ 데이터 이용 촉진 및 '성과의 가시화'를 도모한다. (3) 환경과 관련된 폭넓은 인재 육성 ○ 융합 분야 및 리스크 평가·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실무를 실시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4) 부처간 협력 체제 ○ 정상 관측 체제나 관측 데이터의 취급에 관한 제휴 강화를 진행시킨다. (5) 산학관 연구 주체간의 역할 분담·제휴 ○ 추진전략 등 방침에 따라 각 부처, 대학 연구자의 활동을 연결하는 체제 구축에 노력한다. (6) 지방공공단체나 지역적 대응과의 제휴 ○ 제휴의 본연의 자세에 대해서 보다 더 촉진을 도모한다. (7) 연구 공통기반의 정비·운용 ○ 연구 공통기반인 지구관측 및 그 외 기초연구 등에 대한 지원을 검토한다. *종합과학기술회의 환경PT회합(제 9회) 배부자료임(2009년 4월 24일).
내용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1297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