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기술동향

동향

동향 기본정보

스페인, 기술쇼크의 노동시장에 대한 효과 분석

동향 개요

동향 개요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7-20 00:00:00.000
내용 스페인 중앙은행(Banco de Espana)은 노동시장이 기술쇼크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분석하였다. 고용의 역동성은 이직확률(Job Separation Rate)과 입직확률(Job Finding Rate)을 통해 도출하였으며 기술쇼크는 중립적(Neutral) 기술쇼크(일반적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노동시장에 변화를 초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와 투자에 기인한(Investment-specific) 기술쇼크(기업의 특정 제품 또는 기술 개발로 인해 노동시장에 변화를 초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로 구분하여 각 기술쇼크에 따른 노동시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1) 노동시장의 조정은 중립적 기술쇼크로 인한 외연적 한계(Extensive Margin : 중립적 기술쇼크로 인해 노동인구구조가 변화하는 경우를 의미한다)와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로 인한 내연적 한계(Intensive Margin :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로 인해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노동인구 참가가 변화하는 경우를 의미한다)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2) 실업은 일련의 해고로 인해 초기 증가하며 일정기간 동안 매우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입직확률의 증가가 시간을 두고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직확률은 중립적 기술쇼크로 인한 초기 실업 상황을 잘 설명해주며, 입직확률은 일정한 변동 이후 대부분을 설명한다. (3)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는 노동시간의 증가와 실업 하락을 가져와 집합적인 근로시간의 증가를 가져온다. 즉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는 고용과 근로시간의 증가를 설명하는 주요 결정요인이다. (4) 중립적인 기술쇼크는 실업의 변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는 근로시간의 변동을 설명하는데 대부분을 차지한다. 기술쇼크(중립적 기술쇼크와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를 모두 포함한)는 주요 노동시장의 순환적인 변동의 약 30% 정도를 설명하고 있다. (5) 중립적 기술쇼크를 통해 스페인의 1990년대 경제침체기와 이에 따른 노동시장의 더딘 회복을 설명할 수 있다. 중립적 기술쇼크는 이직확률과 실업의 증가를 설명하는 주요 결정요인이다. 기술혁신(본 연구에서는 기술쇼크)의 노동에 따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즉,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노동을 감소시킨다는 주장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통해 노동을 증가시킨다는 주장이 서로 맞물려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술혁신을 일정하게 구분하여 각 기술혁신에 따라 노동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본 연구는 상당한 가치가 있다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술혁신으로 인한 노동 창출의 주요 요인을 찾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 yesKISTI 참조
출처
원문URL 스페인 중앙은행(Banco de Espana)은 노동시장이 기술쇼크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분석하였다. 고용의 역동성은 이직확률(Job Separation Rate)과 입직확률(Job Finding Rate)을 통해 도출하였으며 기술쇼크는 중립적(Neutral) 기술쇼크(일반적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노동시장에 변화를 초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와 투자에 기인한(Investment-specific) 기술쇼크(기업의 특정 제품 또는 기술 개발로 인해 노동시장에 변화를 초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로 구분하여 각 기술쇼크에 따른 노동시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1) 노동시장의 조정은 중립적 기술쇼크로 인한 외연적 한계(Extensive Margin : 중립적 기술쇼크로 인해 노동인구구조가 변화하는 경우를 의미한다)와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로 인한 내연적 한계(Intensive Margin :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로 인해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노동인구 참가가 변화하는 경우를 의미한다)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2) 실업은 일련의 해고로 인해 초기 증가하며 일정기간 동안 매우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입직확률의 증가가 시간을 두고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직확률은 중립적 기술쇼크로 인한 초기 실업 상황을 잘 설명해주며, 입직확률은 일정한 변동 이후 대부분을 설명한다. (3)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는 노동시간의 증가와 실업 하락을 가져와 집합적인 근로시간의 증가를 가져온다. 즉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는 고용과 근로시간의 증가를 설명하는 주요 결정요인이다. (4) 중립적인 기술쇼크는 실업의 변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는 근로시간의 변동을 설명하는데 대부분을 차지한다. 기술쇼크(중립적 기술쇼크와 투자에 기인한 기술쇼크를 모두 포함한)는 주요 노동시장의 순환적인 변동의 약 30% 정도를 설명하고 있다. (5) 중립적 기술쇼크를 통해 스페인의 1990년대 경제침체기와 이에 따른 노동시장의 더딘 회복을 설명할 수 있다. 중립적 기술쇼크는 이직확률과 실업의 증가를 설명하는 주요 결정요인이다. 기술혁신(본 연구에서는 기술쇼크)의 노동에 따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즉,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노동을 감소시킨다는 주장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통해 노동을 증가시킨다는 주장이 서로 맞물려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술혁신을 일정하게 구분하여 각 기술혁신에 따라 노동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본 연구는 상당한 가치가 있다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술혁신으로 인한 노동 창출의 주요 요인을 찾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 yesKISTI 참조
내용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1481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