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고밀집 무선망에서의 다중경로 멀티 홉 밀리미터파 백 홀에 대한 이해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5-29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서동욱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5G의 최소 요구사항인 20Gbps 전송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UDN(Ultra Dense Network : 고밀집무선망)이 핵심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UDN을 배치하는 데 있어 mmWave 백홀(backhaul)이 가장 큰 기술적 이슈이다. 백 홀(backhaul)은 기본적으로 확장가능하고 비용효율적이고 대용량의 스몰 셀(small cell)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수십 GHz 대역에서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확보할 수 있는 mmWave 백홀이 5G의 기반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이 분석연구에서는 최근에 제안된 다중경로, 멀티 홉(MPMH : Multi Path-Multi Hop) mmWave 백 홀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피코 셀(pico cell) 밀도에 따른 다중경로 멀티 홈 mmWave 백 홀의 성능이 기존의 mmWave 백 홀 구조에 비해 얼마나 향상되는지에 대해 비교한다. 이를 통하여 MPMH mmWave 백 홀이 UDN에서 기존의 백 홀보다 효과적인 구조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2. 목차 1. 개요 2. 성능 분석 3. 결론 UDN 환경에서 백 홀의 처리용량은Gbps급의 고속 데이터처리가 가능한 5G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적인 이슈이다. 이 분석연구에서는 UDN을 위한 MPMH mmWave 백 홀 구조를 실내외 환경에서 기존의 mmWave 백 홀 구조와 성능을 비교하여 MPMH mmWave 백 홀이 높은 처리용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멀티 홉 기반의 백홀 구조는 다른 구조에 비해 피코 셀의 수가 작아도 같은 성능의 백홀 처리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확인하였다. MPMH mmWave 백 홀의 처리용량은 우수한 성능을 보이지만, 다른 구조에 비해 높은 전력소모가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에는 타 구조에 비해 전력소모 성능에 대한 비교연구가 요구된다. References 1. S. Saadat, D. Chen, T. Jiang, ldquo;Multipath multihop mmwave backhaul in ultra dense small cell network, rdquo; Digital Communications and Networks, Aug. 2017. 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Further Advancements for EUTRA Physical Layer Aspects, Tech. Rep. 3GPP TR 36.814 v1.0.0, Sophia Antipolis, France, 2009. 3. A. Jafari, D. Lopez-Perez, M. Ding, J. Zhang, Study on Scheduling Techniques for Ultra Dense Small Cell Networks, in: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 Fall), 2015, pp. 1 ndash;5. ※ 이 자료의 분석은 한국해양대학교의 서동욱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955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