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안전한 드라이브 : 운전자를 위한 NLG 기반 행동변화 지원시스템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7-25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박세환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오랜 기간 동안 NLG(Natural Language Generation)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왔으나, 자동으로 생성된 텍스트를 통해 현실 세계의 행동 분석에 대한 연구 결과가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NLG 텔레메틱스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동차 운전자의 다양한 정보를 담은 1주간의 텍스트를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전송하고 피드백을 생성함으로써 안전운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행동변화 지원시스템(BCSS)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운전자) 기반 자동차의 상태탐지 센서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동작을 추적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운전자의 평소 운전 스타일에 대한 피드백 텍스트로 제공되어 운전자의 원천징수 및 보험료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아울러 운전 스타일에 대한 텍스트 피드백을 통해 운전자가 운전 습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시스템을 통해 평가한다. 2. 목차 1. 서론 1.1. 동기부여 1.2. 텔레메틱스 자동차 보험 2. 관련 연구 2.1. 자동차 행동변화 지원시스템 2.2. Fogg 행동모델 3. 시스템 설계 3.1. 운전자의 관련 행동 3.2. 시스템의 전체 구조 4. SaferDrive 시스템의 평가 5. 결과 검토 6. 결론 7. 전문가 제언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통신 기능은 질서 유지, 개인의 생명과 재산 보호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통신 네트워크가 붕괴되거나 일시적으로 교착상태(deadlock)에 빠지게 되면 위험 상황에 대한 경보를 전달할 수 없어 더 큰 혼란과 위험에 빠질 수 있다. 특히 일상생활 깊숙이 대중화되어 있는 지상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이동통신망 등)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는 즉각적으로 위성통신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에 대한 경보를 전달할 수 있는 공공 재난경보 시스템(PWS: Public Warning System) 구축이 필요하다. 즉, PWS를 통해 지상의 이동통신용 기지국이나 위성통신용 위성지구국에 실시간으로 경보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8]. 이러한 공공안전 재난구조(PPDR: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고지역 망/관할지역 망/확장지역 망 등의 위성 및 무선통신 기술이 연동 또는 융합된 형태의 공공재난 통신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국내 표준화 단체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차세대 통합무선 재난통신 시스템을 통해 대형 교통사고를 당한 사용자(운전자/탐승객)가 사용주파수 대역에 구애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광대역 무선 공공재난 통신 기술로서 공공안전 재난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2016년 6월 기준 국내 재난통신망 이용 기관별 단말기 수요 현황을 보면 경찰이 127,295개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소방 32,995개로 2위, 해양경찰과 지자체가 각각 18,150개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 수치를 보면 재난통신망 이용 기관은 주로 경찰, 소방 및 해양경찰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육상 및 해양 교통사고 부문의 수요가 매우 취약하게 나타나 있다[9, 10]. 그러나 이 부문에서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어 이 분야에 대한 재난통신망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육상은 물론 해양에서도 대형 선박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재난재해 경보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과 아울러 대응시스템(사고처리 매뉴얼, 가이드라인 등) 개발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대형 교통사고는 치명적인 인명피해를 불러올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보다 안정적인(신뢰성이 있는) 공공안전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생존·신뢰성, 재난 대응성, 보안성, 상호운용성 및 운영효율성 등과 같은 필요조건들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공공안전(Public Safety) 통신 네트워크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인프라이다. 그러나 현재의 공공안전 통신망은 상용 이동통신망에 비해 기술이나 서비스 수준에서 개선할 점이 많다. 기존의 음성 및 저속 데이터 서비스 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 LTE급의 기술도입을 통한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술 발굴 및 상용화, 신뢰성 확보, 표준화가 필요하다[11].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NLG(자연어 생성) 기술을 이용한 도로교통 분야에서의 BCSS (의견 및 행동변화 지원시스템) 구축 사례는 도로교통 안전 기술을 상용화하고,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벤치마킹 자료가 될 수 있다. References 1. DANIEL BRAUN, EHUD REITER and ADVAITH SIDDHARTHAN, ldquo;SaferDrive: An NLG-based behaviour change support system for drivers rdquo;, Natural Language Engineering, 2018. 2. 2. Riederer, M. (2014). Developments in neighbouring countries o_er potential for synergies.Swiss Platform for the Promotion of ITS. 3. Centre for Automotive Management (2013). The Used Car Market Report 2013. The University of Buckingham Business School. 4. Rose, S. (2013). Telematics: How Big Data Is Transforming the Auto Insurance Industry. SAS. 5. Fogg, B. J. (2009). A behavior model for persuasive design. In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suasive Technology, page 40. ACM. 6. Arroyo, E., Sullivan, S., and Selker, T. (2006). Carcoach: A polite and Effective driving coach. In CHI #39;06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CHI EA #39;06, pages 357~362, New York. ACM. 7. Handel, P., Skog, I., Wahlstrom, J., Bonawiede, F., Welch, R., Ohlsson, J., and Ohlsson, M. (2014). Insurance telematic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with the smart phone soluti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Magazine, 6(4):57~70. 8. ldquo;긴급 재난에도 통신 가능한 위성통신 시스템_초소형기지국 및 단말기 통합 위성시스템 rdquo;,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 5. 9. 김사혁, ldquo;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주요 논쟁 이슈에 대한 소고, 초점, 제27권 17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9. 16. 10.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 공청회 자료종합(국민안전처, 2015. 2. 24). 11. 박세환, ldquo;공공안전 서비스 기술 동향 rdquo;, CCTV저널 92호, 테크월드, 2016.9. ※ 이 자료의 분석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ReSEAT프로그램 전문연구위원의 박세환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992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