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벼 품종별 현미밥에 적합한 품질 특성 구명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2-01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국립식량과학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발성과 ○ 현미의 수분흡수율이 높으면서, 취반 후 현미밥의 식미가 우수하여 현미밥용으로 적합한 메벼 품종으로 “설갱”과 “큰눈” 적합 ○ 현미 품종인 조은흑미, 눈큰흑찰, 흑진주, 조생흑찰, 큰눈 등 유색미와 거대배아미 품종에 γ–oryzanol이 63.9~81.1(mg/100g)으로 높고, 토콜즈(토코페롤+토코트리에놀)도 흑진주에 43.7 (mg/100g oil)로 가장 높음. 또한, 이들 유색미 품종은 항산화활성도 높아, 총페놀은 흑진주에 486.8(mg GAE/100g), DPPH 활성은 조생흑찰이 45.8(mg TE/100g)이 로 유의하게 높음. ○ 현미 미세도정율 증가로 수분흡수율은 현저하게 높아지는데, 3% 미세도정 현미의 수분흡수율이 백미(8%도정율)와 같은 수준이고, 식미도 뚜렷하게 향상됨. (출처 : 국문요약문 p.4)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06416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