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원천사고저항성을 가진 신개념 핵연료 개발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04/01/2016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기술연구소
연구책임자 이유호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르코늄 합금 핵연료 피복관의 사고시 고온부식과 그로 인한 재료의 열화 그리고 수소발생은 후쿠시마에서 원전 수소폭발과 재앙적 방사선 누출을 야기함 ● 이와같은 지르코늄 합금 피복관의 사고시 거동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치명적으로 저하시키는 요소로 원자력 발전의 침체를 가져오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고저항성 핵연료 개발방법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는 억지끼움 이중벽면 피복관과 갈바닉 부식 소결체 기술을 제안함 ● 이중벽면 피복관의 구성재료에 내관으로는 지르코늄 합금과 외관으로는 Fe-Cr-Al 합금과 탄화규소(SiC)를 선정함 ● Zr-FeCrAl 이중벽면 피복관은 약 1050℃에서 공융현상으로 인하여 녹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됨 ● Zr-SiC 억지끼움 이중벽면 피복관은 코팅으로 접합된 피복관에 비하여 정상상태에서 현저히 낮은 응력에 놓이는 것을 확인함 ● SiC 피복관은 1350℃ 이하에서 재관수 급냉 열충격 파괴는 일어나지 않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음 ● 피복관 열충격 파괴현상을 예측할수 있는 전산해석 코드가 구축되었으며 실제 4.08m SiC 피복관의 열충격 파괴 모사 결과 열충격에 의한 파괴확률이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판명됨 ● 갈바닉 부식 소결체로는 Fe, Cr, Ni 이 선정되었음 ● 갈바닉 부식 소결체가 지르코늄 합금의 고온 증기 산화 반응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음 ●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Zr-Sic 억지끼움 이중벽면 피복관의 원천 사고저항성의 기본 타당성이 확인되었으며 심화 연구의 정당성 및 필요성을 확인함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600002313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