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동ㆍ서ㆍ제주해역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역 - 태안바다목장 -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07-08-01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I. 제 목 동·서·제주 해역 바다목장화(태안바다목장) 개발 연구 용역 사업 (2단계 1차년도)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태안바다목장사업은 내, 외파수도를 중심으로하는 생산형 바다목장과 광활한 조간대를 이 용한 패류 생산 및 갯벌 체험형 바다목장이 어우러진 복합적인 바다목장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태안바다목장사업의 목적은 태안 해역 조하대에 적합한 수산자원 수확용 천해형 바다목장을 조성하여 어업,유어 자원 증대를 통한 지역 사회의 발전과 특히 어업인 수익 증대 중심의 모델개발하고 조간대 및 중조대에 조성되는 갯벌 체험형 바다목장과 연계 하여 국민들의 쾌적한 해양의 이용에 기여하는데 있다.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이번 연구 사업은 제주해역 바다목장의 2단계 1차년도 사업으로 해역내 본격적인 자원조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분야로 나누어 추진되었다. ㅇ생태계 특성조사 - 환경 특성 파악 - 생물군집 특성 파악 ㅇ어장.자원조성 - 해중림, 어패류 복합어초개발 및 어초어장 배치도 - 대상종 건묘의 생산 - 중간육성 기술 적용 가능성 및 적합성 조사 - 방류기술 및 방류어의 행동특성 - 방류어의 유전특성 및 자원 모니터링 ㅇ이용관리 - 바다목장 이용· 관리체제의 기본방향 설정 및 조직구성 - 관광분야 활성화계획 수립 - 어업별 경영실태 및 수면이용분석 - 관광수요조사 어업인 순응도 조사 분석 ㅇ시설투자 - 종묘방류 및 어초시설 IV. 연구결과 1. 환경생태특성 해양환경 사업지구 해역의 해양 환경 기초 자료 축적을 위하여 해양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해역의 수온 계절적인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정점 및 표-저층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염분과 pH는 시공간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존산소는 표층과 저층에서 공통적으로 평균 5.5~13.4 mg/L의 범위를 보였으며 표-저층 간 차이도 작게 나타났다. 입자성 부유물질의 농도는 표층보다 저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겨울철에 높았다. 질소계 무기 영양염류는 표-저층 간 차이가 별로 없었으며, 여름철에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N/P 몰 비는 전체적으로 해양환경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여름철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산염 농도로 몰 비가 높아졌다. 이것은 조사해역에서 여름철에 인산염이 제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사해역은 총질소, 총인 기준으로 대부분 I등급의 해역 수질을 나타냈으나, 일부 계절에서 초인기준 II등급을 초과하는 현상도 관찰되었다. 조사해역의 평균 COD농도는 1.72~2.19 mg/L의 분포를 보였으며, 대부분 해역수질등급 2등급을 나타냈다. 하계 표층 퇴적물의 강열감량과 총유기탄소, 총유기질소는 각각 평균 2.49, 4.69, 0.13%로 나타났다. 해양생태 식물플랑크톤은 총 105종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규조류가 72종(68.6% ), 와편모조류가 26종(24.8%), 규질편모조류가 3종, 그밖에 유글레나류와 은편모조류 그리고 식물성편모조류로 구성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45~442 cells/㎖m의 범위로 조사시기별로 춘계에 최대, 추계에 최소를 나타냈다. 30% 이상의 높은 우점율을 보인 종은 Paralia sulcata, Eucampia zodiacus, 은편모조류(cryptomonads)였으며, Eucampia zodiacus는 춘계에 88.1%의 높은 우점율을 보였다. 엽록소-a 농도는0.26~5.01 μg/ℓ의 범위로 정점별, 수층별 변화폭이 컸으며, 동계에 최대, 춘계에 최소를 기록했다. 종다양성 지수는 0.49~3.06의 범위로 추계에 최대, 춘계에 최소를 나타냈다. 일일 일차생산력은 조사기간 동안 31~,304 mgC/m 2 2/d 1 의 변동범위를 보였고, 춘계에 가장 낮고, 하계에 가장 높았다. 정점별 일일 일차생산력은 정점 4에서 평균 732 mgC/m 2 2/d 1 로 정점 1과 정점 5에 비해 두 배 정도 높았다. 조사 기간 중 원생동물플랑크톤은 총 26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조사 시기별로 10(11월)-17개((2월) 범위를 보였다. 수층별로는 표층에서는 동계(2월)에서 하계(7월)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추계(11월)에 가장 적은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저층에서는 추계(11월)에서 동계(2월)를 거쳐 하계(7월)로 갈수록 분류군 수가 증가하였다. 현존량의 분포 경향은 조사 시기에 따라 표층의 경우 추계(11월)에서 동계(2월)로 갈수록 현존량이 감소하였으며, 동계에서 하계(7월)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저층에서는 추계에서 동계를 거쳐 하계로 갈수록 현존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표층과 저층 간의 현존량 격차는 1-3배 정도 표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분류군별로는 종속영양와편모류와 섬모충류의 현존량 분포는 백분율 조성에서 역상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유는 두 분류군 간의 섭이 방식의 차이에 기인한다. 종속영양와편모류는 engulfment feeder이며 섬모충류 중 빈모섬모충류는 filter feeder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속영양와편모류의 경우 규조류 증식 시에 성장에 유리하며, 이는 자신의 크기와 동일한 먹이원을 섭이가능하기 때문이다. 반면, 섬모충류는 pico-, nanoplankton을 먹이원으로 선호한다. 섬모충류의 경우 20μm 크기의 엽록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우점율이 증가하였다. Gyrodinium과 빈모섬모충류는 연중 우점하여 출현하였으며, Gyrodinium의대부분은 G. spirale로 6.6-33.1%를 차지하였다. 2007년 춘계인 5월에 저층에서 가장 높은 우점율을 나타내었고, 2006년 추계인 11월에 표층에서 가장 낮은 우점율이 관찰되었다. 빈모섬모충류중 20-50μm 크기의 분류군은 10.5-44.3%를 나타내었고, 2007년 11월 표층에서 가장 낮은 우점율을 보였고, 2007년 7월 저층에서 가장 높은 우점율을 나타내었다. 생태학적 지수(종 다양성 및 균등도지수)는 2006년 11월에 가장 낮게 나타났고, 2007년 5월에 가장 높은 값이 관찰되었다. 2007년 2월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생태학적 지수 값을 나타내었으나 정점 간의 표준편차가 가장 큰 계절로 나타나 생태학적으로 불안정한 계절로 보인다.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수는 총 50개였으며 조사 시기별로 동계(2007년 2월) 및 하계(2007년 7월)에 최대 28개, 춘계(2007년 5월)에 최소 22개였다. 동계를 제외하고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 수는 외해에 위치한 정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조사시기간 73-5,328 개체/㎥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조사 시기별로 춘계에 최대, 추계(2006년 11월)에 최소였다. 하계를 제외하고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안면도 측에 위치한 정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조사해역에서 주로 우점한 동물플랑크톤은 원생동물인 Noctiluca scintillans), 자포동물인 히드라충류(Hydromedusa), 지각류인 Evadne tegestina, 요각류인 Acartia sp., Centropages abdominalis, Corycaeus affinis, Paracalanus indicus, 모악류인 Sagitta crassa 및 십각류인 게의 유생(Zoea) 등이었다. P indicus는 추계에 최고 우점하였고, Acartia sp.는 동계에, N. scintillans는 춘계와 하계에 최고 우점하였다. 종 다양성 지수는 평균 1.66이었으며 추계에서 하계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였다. 부유성 어란과 자치어의 종조성과 출현량을 파악하기 위해서 5개 정점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부유성 어란은 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2006년 11월과 2007년 2월에는 부유성 어란이 출현하지 않았다. 2007년 5월에는 3개 분류군, 2007년 7월에는 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가장 높은 출현량을 나타낸 시기는 2007년 5월로서 평균 출현량은 6,966 inds./ 1,000㎥ 이었으며, 2007년 7월에는 17 inds./1,000㎥ 이었다. 우점종은 2007년 5월과 7월에 출현한 멸치(Engraulis japonicus)였다. 자치어는 9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2006년 11월에 1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낮은 출현 분류군수를 보였으며, 2007년 7월에 4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높은 출현 분류군수를 나타냈다. 2007년 2월에 가장 높은 출현량을 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02028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