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새로운 정량적 사시각 측정 시스템 개발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6-01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사시는 흔한 안과 질환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서의 유병률은 4% 정도로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융합 능력의 이상, 해부학적 요인, 신경학적인 요인, 유전적 요인 등에 의해 시자극 유입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동반되거나 유발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시 질환의 진단, 치료, 경과관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사시각의 측정인데 실제 임상에서는 정확하고 재현성 높은 검사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고 정확한 사시각 측정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임상 측정 방법의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컴퓨터 분석 기반의 새로운 자동 사시각 측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임상적용을 목표로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안구 회전 측정을 위한 Functional MRI(Orbit) 시스템 구축 - 영상의학, 의공학 공동연구를 통해 3T MRI를 이용한 눈 운동 MRI 촬영 protocol을 정립하였으며, 3차원 reconstruction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허 출원함. 다양한 안축장을 가진 정상군 모집 - 안과에 내원한 정상인을 모집하여 눈운동 MRI를 촬영하였음. 정상군의 MRI 촬영 및 영상 분석 - 정상군 MRI를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재구성한 뒤 수평, 수직눈운동 시안구 전이운동량과 안구 회전 중심을 측정하였고 안구 회전 이동에 대한 논문 게재.사시 환자군의 모집 - 안과에 내원한 내사시, 외사시 환자 중 사시각이 큰 환자들을 모집하여 눈 운동 MRI와 사시각 동영상을 촬영함. 각막 윤부를 이용한 사시각의 측정 - 사시각 동영상을 분석하여 각 안구의 정면 주시시와 사시 상태를 비교하여 사시각을 측정하였고 그 방법을 특허 등록함. Functional MRI를 이용한 사시각 측정 - 눈운동 MRI를 통하여 정면 주시 MRI와 사시 상태 MRI를 비교하여 사시각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사시각 동영상을 통해 측정한 사시각과 비교하였으며 특허 등록함. 사시각 측정 기기 Prototype 개발 - 디지털카메라와 캠코더를 통해 촬영하던 사시각 동영상을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촬영기기 prototype을 개발하였음. 내사시 환자 모집 - 외사시에 비하여 부족하였던 내사시 환자군을 추가로 모집하여 사시각 동영상과 MRI를 촬영하였음. 사시각 측정 프로그램 개발 - 눈 운동 범위 측정 알고리즘을 사시각 측정에 적용한 사시각 측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령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다른 안과기기 검사(OCT, 안저촬영)에 적용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정확한 사시각의 측정은 사시의 진단과 수술 결정, 경과관찰에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시각 측정법은 허쉬버그 검사(Hirschberg test), 크림스키 검사(Krimsky test) 그리고 교대프리즘가림 검사(Prism alternate cover test) 등이 있다. 하지만 기존 검사법의 대부분은 검사자의 경험 및 눈 짐작에 의존한 측정값을 얻게 되어 검사자간 그리고 동일 검사자에 의해서도 측정값의 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일부 검사법의 경우 카파각 보정의 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있으며 검사 도구(프리즘 등)의 위치나 재질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임상현장에서 정확한 사시각의 측정은 매우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확하고 재현성 높은 검사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사시의 증상으로는 복시, 시력저하, 입체시 감소 등으로 미용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시력과 입체시에 영향을 미쳐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21602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