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제1형 인터페론(Type I interferon) 경로에 의한 항종양 면역반응의 조절과 그 활용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11-21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홍준영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개요 면역계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의 침투를 인지하고 이를 공격하고 제거하여 병원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에 대한 구별이 있어야 가능하고, 면역계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면역학의 한 분과로 오랫동안 제시되었던 가설은, 종양 역시 비자기로 인식되어 면역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는 종양이 발생하고 발전함에 따라 축적된 돌연변이에 의해서, 비자기적 항원이 발생하고 이를 인지하는 면역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기초연구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이러한 항종양 면역반응이 관찰되었지만, 종양 생물학의 주류의 흐름에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최근 지속된 연구와, 무엇보다 면역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blocker)의 뛰어난 임상 효과로 종양 생물학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 이에 대한 공로가 인정되어 2018년 이 분야의 선구자들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암 면역치료는 가장 활발히 연구되는 분야 중 하나이며, 많은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뛰어들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Anti-PD-L1/Anti-PD1과 Anti-CTLA4와 같은 면역관문 억제제가 다양한 암에서 뛰어난 치료 효능을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임상 효과는 전체 환자 중 부분의 환자군에서만 나타나고 있고, 모든 암에서 이러한 치료 효능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문제도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기전으로 치료가 일어났으며, 치료를 막고 있는 장애물이 무엇인지 면역학적인 이해가 가장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제1형 인터페론 경로는, 전통적으로 항바이러스와 깊이 관련된 면역반응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는 특별히 세포 내부를 감염시킨 다양한 바이러스에 대항하여, 자신의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음을 표지하며, 또 다른 면역세포에 이를 알리는 다양한 신호전달 물질을 생산하는 시발점이 된다. 최근 진행된 활발한 연구를 통해, 제1형 인터페론 반응이 단지 항바이러스 반응뿐만아니라, 항종양 면역반응에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본 분석물에서는 이에 대한 현재의 동향과 이 경로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360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