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라이만 알파 성운을 이용한 은하형성 연구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6-01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언제, 어떻게 최초의 은하들이 만들어지고, 은하로의 가스유입, 은하 간 상호작용, 블랙홀, 초신성의 되먹임 현상 같은 물리적 기작들이 은하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은 현대 관측 천문학의 중요한 연구 주제의 하나이다. 우리는 고적색편이 우주에서 한창 형성되고 있는 은하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라이만 알파(Lyα) 성운을 자세히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 있다. Lyα 성운의 본질을 밝히고 은하형성과정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얻기 위해, 우리 연구진은 (1) Lyα 성운들의 영상편광 탐사관측, (2) 편광관측의 효율향상을 위한 기기 업그레이드, 그리고 (3) Lyα 성운의 주변 환경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첫째, 본 과제의 지원으로 우리 국제 공동 연구진(한국천문연구원과 미국 아리조나대학)은 MMT 6.5m 망원경의 SPOL 편광기를 이용하여 총 8개의 Lyα 성운에 대한 대규모 영상편광 탐사관측을 완료하였다. 이 탐사관측의 첫 번째 결과물로써 우리 연구진은 최초로 전파은하 주위의 Lyα 성운에 대해 영상 편광자료를 얻는데 성공하였으며, 표본들에 대한 통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둘째, 편광관측을 선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우리 연구진은 본 과제의 지원을 받아 MMT/SPOL 편광기의 UV 파장에서의 효율을 높이고, 한 번에 관측할 수 있는 기기의 시야를 1.5배 정도 확장하고, 좁은폭 필터를 확충하는 업그레이드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기기개발 연구를 통해 영상편광 탐사관측의 효율이 약 10배 정도 향상되었으며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매우 밝고 가까운 성운들에 대한 편광관측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셋째, 좁은 폭 필터 관측, 은하분광탐사, 그리고 서브밀리미터 관측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Lyα 성운의 주변 환경과 원시은하단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고적색편이 원시은하단과 새로운 Lyα 성운을 발견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 과제에 중점적으로 수행한 Lyα 편광관측 연구는 아주 최근에 시작된 분야로서 우리 연구팀이 선도하고 있거나 현재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해 있는 연구 분야이다. 이 과제에서 추진한 세계적 수준의 영상편광 분광기를 활용한 연구 결과는 그 동안 미지로 남아있었던 Lyα 성운의 본질과 고적색편이 우주에서의 은하 형성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20583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