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기후변화 대응 외래유입 및 토착 곤충의 이동경로 추적과 생태계 영향평가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5-01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가천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동물추적 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기존의 무선추적장치 (Radio Telemetry)의 경우 배터리가 포함된 발신기를 대상 동물에 장착하는 형식으로 운영되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배터리 기반 발신기는 그 무게와 크기가 곤충과 같은 소형동물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University of New Brunswick의 Dr. Colpitts 팀에 의해 개발된 제 4세대 portable harmonic radar를 연구대상 곤충에 적용하고 생태계에서 이동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아래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종의 대상 곤충인 썩덩나무노린재 (Halyomorpha halys),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pedestris), 꽃매미 (Lycorma delicatula), 갈색날개매미충 (Ricania sp.), 꿀벌 (Apis mellifera), 뒤영벌 (Bombus sp.)에 대하여 Agilent HSCH-5340 Schottky diodoe 기반 9-mm dipole radar tag 탑재실험을 진행하고, radar tag의 내구성을 정량계량 후 개선하여 곤충 별 최적 탑재방법을 개발 및 표준화하였다. 탑재방법 개발 후 6종의 곤충에 대하여 cynoacrylate glue를 이용한 radar tag 탑재 후 곤충의 생존율, 보행능력, 비행능력에 대해 대조구 대비 변화여부를 측정하였다. 보행능력의 경우 video tracking system인 EthoVision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Netherlands)을 이용하여 보행거리, 보행시간, 속도, 보행 중 방향전환율 (angular velocity)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radar tag 탑재가 곤충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야외환경에서 radar tag 탑재가 곤충의 비행개시, 지속비행 능력 및 비행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행동영향 평가 이후에 본 연구에서는 야외환경에서 이동경로 추적을 위해 다양한 농업/산림 생태환경에서 radar detection rate를 우선 측정하고, radar를 이용하여 탐지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의 숙련도를 탐지율 85%이상으로 향상시키고 유지시키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야외환경에서의 운영능력을 확보 후 생태계 추적의 case study로 pheromone trap의 active space내에서 유인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H. halys와 R. pedestris 두 종을 대상으로 harmonic radar를 이용하여 해당 landscape 내에서의 이동경로 추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앞서의 2종에 대해 본 실험에서 harmonic radar 및 pheromone trap을 통해 얻어진 분포 및 이동경로에 관한 자료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서 2014-2017년 전국을 대상으로 각 도별로 high-elevation area와 low-elevation area의 산림/농림 생태계를 선정하고 총 126개의 표본조사 지역에서 R. pedestris 월동개체 분포를 3년간 조사하고 GIS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현재 이를 통하여 임상도 기반 및 산림입지토양도 기반 출현지점 위치를 파악하고 harmonic radar 추적을 통해 얻어진 이동경로와 결합하여 분산생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곤충 이동 모니터링에 있어서 기존의 트랩과 연동하여 활용할 수 있는 energy harvesting device 기반 능동형 트랩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접근법은 곤충 모니터링에 있어서 관행적인 저가의 기법 (예, 점착트랩)과 고가의 이론적 기법 (예, 전자코) 사이의 실용적인 모니터링 기법의 기반연구로 그 의미가 있다. Energy harvesting device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의 경우 기존의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압전소자를 통한 에너지 발생 및 저장에 필요한 최소임계 충돌에너지가 곤충 2종 H. halys와 R. pedestris의 페로몬에 대한 반응비행으로 발생 가능한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곤충의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transducer 센서를 이용하여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곤충무게, 높이에 따른 발생전압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으며, 분석 결과 R. pedestris와 B. terrestris의 비행에 의해 발생하는 충돌에너지의 크기는 약 40cm 높이에서 자유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에 해당하는 0.0352J과 0.9005J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04624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