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태양광 경로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06/17/2015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정태희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분석자 서문 최근에 석유, 천연가스, 석탄 등 화석에너지 자원의 고갈 및 공급의 불안정성, 원자력발전 사고와 이에 따른 불안정성이 큰 이슈가 되면서 태양에너지 기술을 비롯한 재생에너지 기술들은 세계적으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환경친화적인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생산 기술은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공해 발생이 없고,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기후변화 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규제의 대처 방안이 될 수 있다. 환경오염이 적은 대표적인 그린 에너지로서 태양광발전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상용화가 미국, 일본 및 유럽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태양광발전은 2013년 전 세계 전기 생산의 0.87%를 차지했고, 2000년 이후로 매년 43%의 누적 생산용량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본 분석물에서는 효율성, 재료 사용, 제조 복잡성과 비용 측면에서 태양광 기술을 다루었다 [1]. 특히, 2050년까지 대규모로 태양광발전기술이 사용될 것이라는 가정하에, 재료 사용과 규모 측면에서 다루었다. 2. 목차 1. 서론 2. 태양광 기술 개요 2.1. 웨이퍼 기반 태양광 기술 2.2. 상용 박막 태양광 기술 2.3. 신흥 박막 태양광 기술 3. 재료 복잡성에 따른 태양광 기술 3.1. 연대기적 분류 3.2. 복잡성에 따른 분류 4. 미래 태양광발전 응용을 위한 성능 통계 5. 태양광발전 연구 개발 경로 6. 태양광발전 재료 스케일 한계 7. 결론 References 3. 원문정보 Joel Jean, Patrick R. Brown, Robert L. Jaffe, Tonio Buonassisi and Vladimir Bulovi´c/Pathways for solar photovoltaics /Energy Environmental Science/2014.12.25 ※ 이 자료의 분석은 HGST의 정태희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762192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