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논문

논문

논문 기본정보

부정확한 속도 모델을 가정한 진원 결정 방법의 성능평가: 지표면 미소지진 모니터링 사례

논문 개요
기관명 NDSL
저널명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ISSN 1229-1064,2384-051x
ISBN

논문 개요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한글) 우정웅,이준기,강태섭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빌행연도 2016-01-01
초록 셰일가스 개발 과정에서 수압 파쇄에 의해 발생하는 미소지진의 진원 분포는 균열대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진원에 대하여 부정확한 속도 구조 모델이 선형 역산법을 이용한 진원 결정 프로그램인 hypoellipse와 hypoDD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총 98개의 가상 관측소를 반경 4 km의 원내에 배치하였고, 25개의 지진들이 판상으로 분포한 가상 지진 세트를 관측망의 중심부에서부터 남쪽으로 1 km 간격으로 5곳에 배치하였다(S0 ~ S4). 역산 결과의 정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진원들의 평균 위치의 차이를 의미하는 $d_1$ , 가정한 진원에 대한 면적비 r, 근사 평면과 실제 평면의 경사 차이 ${ theta}$ , 근사 평면과 실제 평면의 주향 차이 ${ phi}$ , 근사 평면으로부터 진원들이 떨어진 거리의 제곱평균제곱근 $d_2$ , 평면상에서의 진원들의 패턴의 정확성 $d_3$ 의 6가지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 층상 구조를 가정한 기준 속도 구조를 만들어 합성 주시자료를 계산하였으며, 속도 구조의 부정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진원 역산에 사용한 속도 구조 모델은 각 층의 기준 속도를 중심으로 0.1 km/s, 0.2 km/s, 및 0.3 km/s의 표준편차를 가지는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속도의 부정확성에 비례하여 오차가 커지는 파라미터에는 $d_1$ , r, ${ theta}$ , 및 $d_3$ 가 있으며, 나머지 두 파라미터는 S4의 경우를 제외하면 속도 부정확성의 정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오차를 보여준다. S0, S1, S2, S3의 경우, hypoellipse와 hypoDD 모두 비슷한 $d_1$ 값을 나타낸다. 하지만 다른 파라미터의 경우 hypoDD가 훨씬 나은 결과를 보여주며, 진원의 상대적 오차는 속도 구조의 부정확도와 관계없이 수 미터 이하이다. 수압 파쇄의 부피 양상을 알기 위한 목적으로 상대적 진원 위치 부정확성을 수 미터 이내로 제한시키기 위해서 hypoellipse에서는 0.2 km/s 이내의 속도 오차의 표준편차를 가져야하며, hypoDD에서는 속도 오차의 표준편차 값이 0.3 km/s일 때에도 상대적 진원 위치 오차를 수 미터 이내로 제한시킬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09562998106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미소지진 진원 결정 선형 역산 주성분 분석 셰일가스 개발 Microseismic events hypocenter linear invers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ale gas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