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논문

논문

논문 기본정보

CABYV 감염 멜론의 황화증상에 따른 생리적인 특성

논문 개요
기관명 NDSL
저널명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ISSN 1226-8763,
ISBN

논문 개요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한글) 이희주,김미경,이상규,최장선,최홍수,곽해련,최국선,전창후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빌행연도 2015-01-01
초록 최근 멜론 재배지에서 확산되고 있는 멜론 황화엽 증상의 발생 원인을 구명하고자 황화엽 발생개체와 정상 개체간의 생육과 바이러스 이병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황화증상을 보이는 멜론 잎에 대해 전자현미경 검경 및 국내 보고된 박과 감염 8종에 대해 RT-PCR한 결과 바이러스가 진단되지 않았다. 국내 미보고된 바이러스로 의심되어 차세대유전체염기서열분석(NGS)를 이용하여 진단한 결과 박과진딧물바이러스(CABYV)로 판정되어 CABYV 특이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 한 결과 모두 CABYV 감염이 확인되었다. 광합성 능력은 정상엽의 경우 $12.36{ mu}mol{ cdot}m^{-2}{ cdot}s^{-1}$ 였고, 황화엽은 ( $4.09{ mu}mol{ cdot}m^{-2}{ cdot}s^{-1}$ 로 황화엽이 정상엽의 1/3 수준으로 낮았다. 뿌리의 활력도 정상적인 생육을 보인 멜론에서는 $0.48mg{ cdot}g^{-1}$ 이었으나 황화증상이 발생한 개체에서는 $0.28mg{ cdot}g^{-1}$ 로 황화증상 개체의 뿌리 활력이 정상 개체보다 2배 정도 낮았다. 잎의 무기성분은 모든 성분에서 정상엽이 황화엽보다 2배 이상 유의성 있게 높게 나왔고, 특히 철분의 함량은 20배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정상 개체와 황화증상 개체의 세포조직을 관찰한 결과, 울타리조직이나 해면조직은 모두 정상적인 모양을 보여 황화증상이 잎의 세포조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지만 다만, 황화증상 개체의 잎은 통도조직의 주변을 중심으로 전분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동화양분의 전류가 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최근에 국내의 멜론재배지에서 급속하게 발생하고 있는 황화엽 증상은 생리적인 원인보다는 진딧물에 의한 바이러스 이병에 의한 원인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며 황화엽 증상의 피해와 확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매개충인 진딧물을 사전에 방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14751644989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진딧물 황화엽 멜론 병 바이러스병 aphids leaf yellows melon disease viru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