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고전 한의서의 골질환 빈용 방제에 대한 네트워크 약리학적 분석 및 골다공증의 주요작용기전 검증 연구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3-01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원광대학교
연구책임자 한상용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한의서에서 골 질환에 빈용되어 사용된 방제들을 선별하여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에 의해 골다공증의 타겟 유전자의 효능 예측을 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in vitro와 in vivo 실험을 통해 파골세포 분화 억제 및 파골세포 세포자멸사, 또는 자가포식작용에 영향을 확인하여 골 질환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응용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기존 한의서에서 골다공증에 빈용되어 사용된 방제의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을 통해 골 질환의 타겟 유전자의 효능 예측 및 발굴 - 기존 한의서에서 골다공증에 빈용되어 사용된 방제인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반룡환(斑龍丸), 삼기음(三氣飮), 청아지황탕(靑蛾地黃湯),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으로 리스트작성 - 한국전통지식포탈(http://www.koreantk.com)를 통해각 방제들의 출처, 주치병증, 구성약재, 그리고 각 약재의 구성성분 도출 및 목록작성 - 도출된 구성성분과 연계되는 단백질과 protein-protein interaction(PPI) 네트워크 분석 - PPI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hub들의 유전자 정보가 골 질환에 관련 여부확인 (Therapeutic target database (http://bidd.nus.deu.sh/group/ttd/ttd.asp)를 이용하여 골다공증, bone disease, bone resorption 과 관련된 각각의 target gene을 확인) ○ 파골세포 분화 및 마우스 질환 모델에서의 효능 및 기전 검증 - 고전의서에서 빈용되어 사용된 방제 중 육미지황탕과 그 외 오가피, 육계, 황련이 후보 물질로 선별 및 골 질환 관련 인자 선정 - In vitro실험을 위한 마우스로부터 primary cell 분리 확립 - 파골세포 분화의 효능평가는 TRAP<sup>+</sup> 다핵세포 수의 억제, TRAP 활성 억제, bone resorption pits 형성 억제, F-actin ring 형성 억제로 확인 - 파골세포 분화의 주요인자인 c-Fos, NFATc1, MAPKs pathway 그리고 NFATc1의 하위인자인 TRAP, OSCAR, Atp6v0d2, Cathepsin K, OC-stamp, DC-stamp, MMP-9 등 인자들의 억제확인 - 난소적출술로 인한 골 손실 동물 모델 확립 - 난소적출술로 손실된 골 질환 동물모델에 후보물질의 골 손실회복 관련 기전 확인 ○ 파골세포 자멸사와 자가포식작용에 대한 효능 및 기전 확인 - 후보물질과 인자에 대한 파골세포 자가포식작용의 효능 및 기전확인 - 후보물질과 인자에 대한 파골세포 세포자멸사의 효능 및 기전확인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기존의 약리학적 연구방법으로는 제한되었던 한의학의 복합방제의 효능과 작용기전, 질병에 대한 이해에 기여함. - 네트워크 분석으로 처방의 기전을 설명하는 가설 그리고 추후 연구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어떤 질환에 사용되는 다양한 처방의 기전을 분석함에 따라, 가감 및 새로운 처방의 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음. - 중국 TCM database가 아닌 우리나라의 방제의 특징에 적합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의 입증 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함. - 골다공증에 있어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 효능 이외에 파골세포 세포자멸사 및 자가포식작용의 기전연구를 통해 골다공증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공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5901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