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새로운 개인식별항목의 개발: 체질인류학적 계측 방법을 이용한 신원불상 백골화 시신의 체질량 추정 연구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05-01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73명을 대상으로 목말뼈와 관련된 각 9개 계측 값들의 분산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이다. 이를 통해 한 계측항목의 값이 뛰어나게 큰 경우 나머지 계측항목의 값들도 평균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칫 남녀간에 목말뼈 계측값이 유의하게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사실과 연결 될 수있으나, 체질량을 공변량으로 하여 남녀간의 계측값을 공분산분석 한 결과 목말뼈 앞뒤 최대 길이를 제외하고는 크기 차이가 있을지언정 남녀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계측값 차이는 없음을 확인하였다. 목말뼈 앞뒤 최대길이와 안쪽에서 가쪽까지 최대 너비는 매우 유의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특별히 목말뼈 아래 관절면의 너비와 길이와도 유의하였는데 체질량으로 인해 발목관절이 받는 하중과 관련하여 의미를 생각해 볼만한 계측요소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계측으로 인한 표준편차보다 훨씬 안정적인 수준의 표준편차를 생성하였으며, 계측항목간의 차이가 매우 근소함에도 뚜렷한 항목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3차원 계측으로써 계측의 재현성을 높이고자 했던 본 연구의 기존 목표달성을 뒷받침해주는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발꿈치뼈와 관련된 10개의 계측변수로 가능한 모든 1023개의 모델의 AIC-BIC값을 비교한 결과, 5개의 변수(MaB, PH, LAL, LAB, DAFB)를 포함하는 모델이 최선의 모델로 추정, 추출 되었다. 5개의 변수를 포함한 그룹5의 모델이 체중추정에 대한 정확도(적합도)와 간명성(작은 수의 변수)이 가장 타당한 모델로 선택되었다. 머리뼈와 관련된 9개의 계측변수로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체질량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얼굴너비(byzygomatic diameter)와 최대머리뼈높이(maximum cranial height)였고, 코와 관련된 계측항목은 체질량과의 상관관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법의학 분야에서 체중을 포함한 신원식별항목을 판별함으로써 생전 정보(antimortem data)를 제공하여 법률과 관계된 의학적 상황들을 고려할 때 더욱 개연성 있는 정황 아래서 상황 판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망 이전 까지 의 생명활동을 추정하는데 단서를 제공하여, 사인을 파악하는데 쓰일 수 있다. 진화인류학 분야에서는 체질인류학적 뼈 계측을 통한 체질량에 대한 연구는 자체로 체질인류학적 자료(raw data)를 풍부하게 할 것이다. 이렇게 모아진 자료들은 당시의 환경적, 지리역학적 환경변화 요소들과 고려되어 작은 범위로는 한반도, 아시아에서 넓게는 전 대륙에 걸쳐서 고대에서 현대로의 진화상을 재구성해 내는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고대의 병리를 분석 연구할 때에도, 뼈에 대한 접근은 역시 중요한데 어떤 병터는 뼈에 직접 새겨지고, 달리 해석될 여지가 없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체중은 고금을 통틀어 질병을 파악할 때 기본이 되는 신체 정보로써 병리 분석의 정확도라든가 질병기전 발생 등을 평가 할 때,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고병리학에의 발전이나 활용에도 일정 부분 기여하는 바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얼굴복원에서 뼈대를 통한 질량 추정이 가능해 진다면 그 예상한 만큼의 연부조직을 설정하는데 보다 적확한 근거가 제공되므로 극복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연구와 얼굴 복원의 학문간 융합을 통해 장기 실종아동을 되찾고 신원불상인의 신원을 파악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13683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