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성인 및 청소년 제2형 당뇨병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10-25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혜미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전 세계적으로 4억1,500만 명의 사람들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약 1억3,300만 명이 숨어 있는 당뇨병 환자(undiagnosed diabetes)이다. 제2형 당뇨병은 당뇨병 환자의 90% 이상으로,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을 유발하여 환자와 간병인 모두 심리적, 육체적 고통을 유발하고 의료 시스템에 막대한 부담을 준다. 제2형 당뇨병의 위험 요인에 대한 지식과 성공적인 예방 프로그램이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병 및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 제2형 당뇨병은 심각한 진행성 당뇨병 및 합병증을 나타내며 치료에 부적절하게 반응하여 질병의 빠른 진행을 초래한다. 전반적으로 드문 질환이나 최근 청소년 제2형 당뇨병은 많은 국가에서 소아과 및 성인 당뇨병에 관한 주요 문제점을 제기한다. 스크리닝 프로그램을 통한 조기 발견과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의 유용성은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켜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청소년 제2형 당뇨병은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메트포르민(metformin) 처방이 첫 번째 치료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연구 참여자 수의 부족으로 새로운 치료 옵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유전성 성인 당뇨병(maturity onset diabetes of the young, MODY) 환자에게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당뇨병 표현형과 유전자형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구체적인 관리 및 맞춤형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성인 및 청소년 제2형 당뇨병의 진단 및 관리, 기존 논쟁 및 향후 치료 방향에 대한 최근 발전 상황을 설명하고자 한다. 2. 목차 1. 서론 2. 역학(Epidemiology) 3. 병리생리학 4. 제2형 당뇨병 예방 5. 제2형 당뇨병의 선별검사 및 조기 발견 6. 합병증 및 동반 질환 7. 비만 관리 8.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약물치료 9. 혈당 조절 최적화 및 유지에 대한 과제 10.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새로운 기술 및 치료 옵션 11. 결론 최적의 제2형 당뇨병 관리에 대한 근거 자료는 조기진단 후 효과적인 다각도 간호 제공, 구조화된 교육 및 자가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지원되는 효과적인 포도당 감소 요법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자들은 여전히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을 일으킨다. 청소년 제2형 당뇨병은 심각하고 진보적인 표현형, 현재 치료법에 대한 부작용 및 순응도 및 관리 면에서 주요한 문제점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슐린 분비 장애가 주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에 따른 초기 치료 지침은 서구인 대상 임상연구에서 확인한 지표를 권고하여 시행하고 있다. 가장 큰 특징으로 외국과는 달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43% 가량이 비만으로 비만 지표로 당뇨병 진단 및 예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약물 치료 외 생활습관 교정을 통한 당뇨병 프로그램이 미흡하며 국내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에 따른 혈당조절 가능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부족함으로 치료 시 약제 처방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청소년층에서 제1형 당뇨병 환자가 많았으나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발생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층의 경우 대부분 비만이 원인이 되고 있으며 생활습관의 교정, 약물 치료 등을 통해 당뇨병 관리가 필요하다. 청소년층의 제2형 당뇨병 급증은 조기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으며 향후 심각한 국민 건강에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임상적 특성 규명을 통한 세분화된 특성에 따른 선택적 치료 방법의 확립 및 적용이 시급하다. 제2형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과 달리 현재의 지식 상태에서는 이론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목표로 삼은 예방에 대한 노력은 거의 발전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고 광범위한 체계적 노력에 달려 있을 것이다. 청소년 제2형 당뇨병이 심각한 진행성 표현형이며, 혁신적인 심리적 및 약리학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소아 및 청소년은 당뇨병 서비스에서 고위험군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통해 성인 당뇨병 서비스와 관련이 있는 연구 프로그램과 통합된 증거 기반 소아-청소년 당뇨병 서비스에 환자를 집중시켜야 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현지 서비스 및 1차 진료와 공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잠재적으로 새로운 원격진료(telehealth) 기술의 사용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까지 입증되지는 않지만 취약한 환자를 중심으로 건강 및 사회 케어 시스템의 통합을 보장해야 한다. 제2형 당뇨병은 예방이 가능하며 광범위한 국가 예방 프로그램을 시도해야 한다. 당뇨병이 발생하면 환자의 상황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Chatterjee S, Khunti K, Davies MJ. Type 2 diabetes. Lancet. 389, 2239-51 (2017). 2. WHO. Non-communicable diseases country profi le 2014. July, 2014. http://www.who.int/nmh/publications/ncd-profi les-2014/en/(accessed Oct 6, 2016). 3. Duckworth W, Abraira C, Moritz T, et al. Glucose control and vascular complications in veterans with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360, 129-39 (2009). 4.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 Diabetes Atlas, 7th edn. 2015. http://www.diabetesatlas.org/ (accessed Oct 6, 2016). 5. Leong A, Porneala B, Dupuis J, Florez JC, Meigs JB. Type 2 diabetes genetic predisposition, obesity, all-cause mortality risk in the US: a multiethnic analysis. Diabetes Care. 39, 539-46 (2016). 6. Oram RA, Patel K, Hill A, et al. A type 1 diabetes genetic risk score can aid discrimination between type 1 and type 2 diabetes in young adults. Diabetes Care. 39, 337-44 (2016). 7. Viner R, White B, Christie D. Type 2 diabetes in adolescents: a severe phenotype posing major clinical challenges and public health burden. Lancet. 389, 2252-60 (2017). 8. Wei GS, Coady SA, Reis JP, et al. Duration and degree of weight gain and incident diabetes in younger versus middle-aged black and white adults: ARIC, CARDIA, and the Framingham Heart Study. Diabetes Care. 38, 2042-49 (2015). 9. Silverstein J, Cheng P, Ruedy KJ, et al. Depressive symptoms in youth with type 1 or type 2 diabetes: results of the pediatric diabetes consortium screening assessment of depression in diabetes study. Diabetes Care. 38, 2341-43 (2015). 10. Khanolkar AR, Amin R, Taylor-Robinson D, Viner R, Warner J, Stephenson T. Ethnic minorities are at greater risk for childhood onset type 2 diabetes and poorer glycemic control in Englan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740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