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기본정보

바이오 분야 정부 연구개발 투자전략 재정립을 위한 파급효과 분석 프레임워크 수립 연구

보고서 개요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01/01/2015
과제시작년도

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책임자 김은정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4. 결론 (연구결과 종합) □ 본 연구는 바이오 기술 및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바이오 분야 파급효과 분석프레임 워크를 설계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음 〇 바이오 분야는 제품개발 소요기간이 길며,사업화 성공할 확률이 다른 기술 분야에 낮은 점을 반영하여 분석 프레임워크를 설계함 〇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 사례에서 시사점을 발굴하여 파급효과 분석프레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함 □ 도출된 바이오 분야 파급효과 분석프레임을 신약개발 분야에 적용하여 분석하고,분석 결과로부터 정부 R D 투자전략 재정립 및 관련 사업 조정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함 〇 바이오 분야 內 신약개발 R D사업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은 만큼 전략적 투자가 되고 있는지,효율성(생산성)은 어떤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인 분야임 〇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분석결과,SCI논문 및 국내특허의 질적 가치,특허 성과의 활용성 등이 부처,사업,신약개발단계 등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임 〇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현재 정부의 신약개발 전체에 대한 예상매출액 산출과정으로부터 현재 R D 투자포트폴리오 조정에 대한 방향성 및 조정요소에 대한 근거 제공이 가능했음 〇 사회적 파급효과 분석결과,정부의 지원이 없는 경우를 가정하여 비교한 결과 신약 개발에 대한 정부지원이 국민 삶의 질,지식증진,제도 및 인프라적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시사점) □ 본 연구는 기존의 바이오 분야에 대한 파급효과 분석이 全無한 상황에서 분석프레임을 새롭게 설정하여 지금까지의 실질적인 R D 투자효과성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서 의의가 있음 □ 또한,파급효과 중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관점을 수립하고 이를 시범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바이오 분야 R D투자의 경제적 가치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것이 새로움 □ 향후,신약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심층분석 및 나머지 바이오 분야에 대해서도 파급 효과 분석을 확대하여 바이오 분야의 파급효과를 통한 R D 투자의 효과성,효율성 시각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함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500014141
첨부파일

추가정보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